지역 내 공원면적ㆍ문화시설 수 증가하면 자살률 감소

[수요 식품과 건강 Hot 뉴스]지역 내 공원면적ㆍ문화시설 수 증가하면 자살률 감소

606
0
SHARE

지역 내 공원면적ㆍ문화시설 수 증가하면 자살률 감소

 

-문화기반시설 10곳 늘어나면 자살 10만명당 7명 감소 효과
-미세먼지 농도 높은 시ㆍ군ㆍ구의 자살률 더 높아
-고령인구 비율 높은 시ㆍ군ㆍ구, 높은 자살률 기록
-광운대 연구팀, 2009년~2015년 시ㆍ군ㆍ구 통계자료 분석 결과

 

GettyImages-a8243865

공원 면적과 문화기반시설 수 증가 등 개인이 가까이에서 이용할 수 있는 휴식 공간과 문화혜택이 늘어나면 해당 지역 내 평균 자살률이 크게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령인구 비율이 높거나 미세먼지가 심한 곳은 평균 자살률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5일 한국식품커뮤니케이션포럼(KOFRUM)에 따르면 광운대 SSK 정신건강과 지역사회연구단 송나경 연구팀이 국가통계포털에서 제공하는 2009년~2015년 지역별 통계자료를 바탕으로 전국 225개 시ㆍ군ㆍ구의 환경적 요인과 자살률과의 관계 등을 분석한 결과 이같이 드러났다. 이 연구결과(지역사회 환경적 요인이 지역 자살률에 미치는 종단적 영향: 2009-2015년 자료를 중심으로)는 한국생활환경학회의 학술지 최근호에 소개됐다.

연구 결과 1인당 공원면적ㆍ문화기반시설의 수 등 지역사회의 환경적 요인이 해당 지역의 평균 자살률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1인당 공원면적이 10㎡ 증가하면 인구 10만 명당 자살자 수가 3명 정도 감소하는 효과를 나타냈다. 지난 7년간(2009년~2015년)의 1인당 평균 공원면적은 약 3㎡였다. 1인당 공원면적은 어느 시ㆍ군ㆍ구에 사느냐에 따라 0∼34.1㎡로 큰 격차를 보였다.

거주하는 지역의 문화기반시설이 늘어나도 평균 자살률이 감소했다. 문화기반시설 수는 해당 지역의 인구 10만 명당 이용 가능한 도서관ㆍ박물관ㆍ미술관ㆍ문예회관ㆍ문화의 집 등의 수를 가리킨다. 인구 10만명당 문화기반시설이 10개 늘어나면 자살자는 평균 7명 감소했다. 문화기반시설 수는 시ㆍ군ㆍ구에 따라 최소 0.6곳에서, 최대 69.7곳까지 크게 차이가 났다.

연구팀은 논문에서 “충분한 녹지 공간과 공원 면적이 주어지면 그렇지 않은 경우에 비해 신체활동ㆍ사회적 접촉을 활발하게 할 가능성이 높아지고, 이를 통해 정신적 스트레스ㆍ우울증, 나아가 자살률까지 감소시키는 결과를 가져온다”며 “공원면적과 문화기반시설이 개인의 정신건강과 관련성을 보인 이번 연구 결과는 자살예방정책에 있어 지역사회의 환경적 요소가 중요함을 시사한다”고 밝혔다.

이번 연구에선 고령인구 비율의 증가와 미세먼지 수준의 상승은 자살률을 높이는 것으로 조사됐다.

시ㆍ군ㆍ구의 고령인구 비율이 10%가 증가하면 인구 10만명당 자살률은 5~6명 증가했다. 미세먼지 농도가 보통 수준 이하인 시ㆍ군ㆍ구에 사는 주민의 인구 10만명당 자살률이 미세먼지 농도가 괜찮은 시ㆍ군ㆍ구에 비해 약 2명 더 많았다.

연구팀은 논문에서 “대기 오염 정도가 심하고 실내 공기 질이 나쁘면 스트레스ㆍ불안을 증가시키며 자살률의 증가와도 관련이 있음을 보여주는 연구 결과도 나왔다”며 “대기 오염이 개인의 신체 건강뿐만 아니라 정신 건강에도 영향을 줄 수 있다”고 지적했다.

한편 2016년 우리나라의 자살률은 OECD(경제협력개발기구) 국가 중 가장 높았으며, 14년 연속 ‘OECD 최고 자살국’이란 불명예를 기록하고 있다.

 ———-
# 전화: 02-6300-2850(2852), 070-4710-8393
# 메일: kofrum@kofrum.com

NO COMMENTS

LEAVE A REPLY